본문 바로가기
문화이야기

🇰🇷 제헌절, 헌법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

by hawaiiyo 2025. 7. 11.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국가의 틀’, 그 출발점을 아시나요?

바로 제헌절입니다.

 

🇰🇷 제헌절, 헌법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

 


매년 7월 17일, 뉴스나 달력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던 날.
하지만 ‘왜 이날이 중요한지’ 물으면,

생각보다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운 분들도 많죠.

그래서 오늘은!
‘제헌절’이 어떤 날인지, 왜 기억해야 하는지,

그리고 지금의 우리 삶과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
차근차근 풀어보려 합니다.


📌 제헌절이란?

제헌절은 쉽게 말해,

대한민국 헌법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날이에요.
정확히는 1948년 7월 17일,

우리나라가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한 날을 기념하는 날이죠.

그 전까지 우리나라에는

독립 국가의 헌법이라는 게 없었어요.
일제강점기 이후, 해방은 되었지만

국가의 뼈대가 없던 상황이었죠.
그런 혼란 속에서 국회가 구성되고, 헌법 초안을 만들고,

국민을 위한 나라를 세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이승만 의장을 포함한 제1대 국회의원들이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한 날이 바로 7월 17일, 제헌절입니다.


✨ 왜 7월 17일일까?

그냥 우연일까요?
사실 이 날은 조선 건국일과 같은 날짜입니다.

조선은 1392년 7월 17일에 건국되었고,
대한민국 헌법도 1948년 7월 17일에 탄생했죠.

_새로운 국가가 시작되는 상징적인 의미_를 담기 위해
역사적 전통과 연결해 날짜를 정한 것이라고 해요.


📜 제헌절의 의미

헌법이란 단순한 종이 문서가 아닙니다.
우리의 자유, 권리, 평등, 법치가 담긴 기본 토대입니다.

그 헌법이 제정되었다는 건,
✔️ 나라가 ‘법과 원칙’ 위에 서기 시작했다는 뜻이고
✔️ 국민이 권리의 주체가 되었다는 선언이며
✔️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된 순간입니다.


🎉 예전엔 공휴일이었다고?

맞습니다.
**제헌절은 2007년까지는 ‘공휴일’**이었어요.
다들 쉬면서 ‘아 헌법 만든 날이구나~’ 하고

한 번쯤은 되새기기도 했죠.

하지만 현재는 공휴일에서 제외됐습니다.
(노동 생산성 문제, 휴일 조정 등의 이유 때문인데요…)

그렇다고 의미까지 사라진 건 아니에요.
지금도 태극기를 게양하는 법정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고,
학교나 기관에서는 헌법 관련 행사도 이어지고 있어요.


👀 제헌절, 우리 삶과 무슨 상관일까?

솔직히 말하면…
‘헌법’이란 말만 들어도 어렵고, 멀게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생각해보세요.

✔️ 표현의 자유
✔️ 양심과 종교의 자유
✔️ 교육 받을 권리
✔️ 남녀 평등
✔️ 환경권
✔️ 복지와 사회보장 받을 권리

이 모든 게 헌법 덕분에 **‘보장되는 권리’**예요.
즉, 우리가 당연히 누리고 있는 삶의 틀과 질서가
그 시작점인 ‘제헌절’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 절대 잊어서는 안 됩니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실천

이 날을 그냥 지나치기보단, 이렇게 작은 실천 어떠세요?

  • 태극기 게양하기
  • 헌법 전문(全文) 한 번 읽어보기
  • 아이들과 함께 ‘국가’와 ‘권리’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제헌절 다큐 감상하기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꽤 의미 있는 하루가 될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제헌절은 단지 역사 속 한 페이지가 아닙니다.
_‘우리가 왜 이 땅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답_이기도 하죠.

매년 7월 17일.
잠깐이라도 ‘헌법’과 ‘민주주의’에 대해 떠올리는 시간이 되었으면 해요.
그리고 오늘의 평화를 가능케 했던 모든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도 함께 담아봅니다.


🔻제헌절 관련 정보 요약🔻

항목내용
제정일 1948년 7월 17일
의미 대한민국 헌법 제정 및 공포 기념일
지정유형 법정기념일 (공휴일 아님)
유래 조선 건국일과 동일한 날짜 선택
주요행사 태극기 게양, 헌법 관련 교육 및 캠페인